맨위로가기

지방도 제91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912호선은 경상북도 상주시, 구미시, 의성군, 청송군을 지나는 지방도이다. 2003년 노선이 폐지 및 재지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도로 개량 및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상주시 청리면 청리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25호선과 교차하며, 구미시, 의성군을 거쳐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까지 이어진다. 일부 구간은 국도 및 지방도와 중복되며, 낙단보 건설 현장에서 발견된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2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송군의 교통 -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경상북도 영덕군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330.8km의 고속도로이며, 당진, 예산, 공주, 유성, 청주, 상주, 영덕 등을 지난다.
  • 청송군의 교통 - 지방도 제914호선
    지방도 제914호선은 경상북도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영덕군을 연결하는 지방도로, 노선 변경과 구간 개통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의성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의성군의 교통 -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경상북도 영덕군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330.8km의 고속도로이며, 당진, 예산, 공주, 유성, 청주, 상주, 영덕 등을 지난다.
  • 상주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상주시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지방도 제91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경상북도 지방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첩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첩
노선명청리 ~ 현서선
노선 번호명지방도 제912호선
총 연장107.37km
기점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
종점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주요 경유지
주요 교차 도로

2. 연혁

2003년 2월 20일에 노선이 폐지되고 재지정되었다.[1] 2005년 11월에는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서 청상리까지 1.18km 구간 도로가 재포장되었다. 2007년 6월 13일에는 안사에서 신평간 도로(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3.0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 2018년 11월 15일에는 노선 기점이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로 변경되었고, 전체 노선 연장이 5.1km 단축되었다.[3]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2003년 2월 20일에 노선이 폐지되고 재지정되었다.[1] 2005년 11월에는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서 청상리까지 1.18km 구간 도로가 재포장되었다. 2007년 6월 13일에는 안사에서 신평간 도로(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3.0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 2018년 11월 15일에는 노선 기점이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로 변경되었고, 전체 노선 연장이 5.1km 단축되었다.[3]

2. 2. 도로 개량 및 확장

2005년 11월 상주시 청리면 청하리에서 청상리까지 1.18km 구간의 도로 재포장이 있었다. 2007년 6월 13일에는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구간 3.02km를 확장하여 개통했다.[2]

3. 주요 경유지

상주시


  • 청리면 청리 교차로 - 청리삼거리 - 청리교 - 청리교 북단 - 청상저수지 - 청상리
  • 낙동면 용포리 - 용포교 - 신오리 - 수창리


구미시

  •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산촌리 - 옥관리 - 구봉삼거리 - 제1구봉교 - 구봉리


상주시

  • 낙동면 낙단 교차로 - 낙동삼거리 - 낙단교


의성군

  • 단밀면 낙단교 - 낙정정류소 - 낙단보 좌안 - 생송리 - 생송교 - 주선리 - 단밀중학교 - 단밀교
  • 단북면 단밀교 - 이연리 - 노연리 - 단밀약방 - 삼성중학교 - 용기삼거리 - 용기사거리 - 용기 교차로 - 하덕교 - 도덕리
  • 안사면 안사면사무소 - 안사교 - 안사리
  • 신평면 검곡리 - 마안교 - 검실재
  • 안평면 검실재 - 금곡리 - 하령리 - 하령교 - 창길리 - 안평중학교 - 안평파출소 - 안평초등학교 - 안평면사무소 - 박곡리 - 신월교 - 석탑리 - 광암교 - 신월리
  • 의성읍 철파리 - 철파교 - 철파사거리 - 철파2교 - 의성교 동단 - 북원사거리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 의성역 (역전오거리) - 의성초등학교 - 의성군청 - 의성고등학교 - 대구지방법원 의성지원 - 의성여자중학교 - 지곡서원 - 상리삼거리 - 상리리
  • 사곡면 오상리 - 신감리 - 신감삼거리 - 신감교 - 양지리 - 사곡초등학교 (폐교) - 사곡면사무소 - 의성중학교 사곡분교 (폐교) - 매곡리 - 사곡저수지 - 공정리 - 사곡령


청송군

3. 1. 상주시

상주시 청리면 청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25호선과 교차하고, 청리삼거리, 청리교, 청상저수지를 지난다. 청상저수지 인근 청상로와 분기한다. 낙동면 용포리, 용포교, 신오리, 수창리를 지난다.

3. 2.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에서 시작되어 산촌리, 옥관리를 거쳐 구봉삼거리에서 끝난다. 이후 제1구봉교를 지나 구봉리로 이어진다.

3. 3.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 낙정정류소 - 낙단보 좌안 - 생송리 - 생송교 - 주선리 - 단밀중학교 - 단밀교

단북면 단밀교 - 이연리 - 노연리 - 단밀약방 - 삼성중학교 - 용기삼거리 - 용기사거리 - 용기 교차로 - 하덕교 - 도덕리

안사면 안사면사무소 - 안사교 - 안사리

신평면 검곡리 - 마안교 - 검실재

안평면 검실재 - 금곡리 - 하령리 - 하령교 - 창길리 - 안평중학교 - 안평파출소 - 안평초등학교 - 안평면사무소 - 박곡리 - 신월교 - 석탑리 - 광암교 - 신월리

의성읍 철파리 - 철파교 - 철파사거리 - 철파2교 - 의성교 동단 - 북원사거리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 의성역 (역전오거리) - 의성초등학교 - 의성군청 - 의성고등학교 - 대구지방법원 의성지원 - 의성여자중학교 - 지곡서원 - 상리삼거리 - 상리리

사곡면 오상리 - 신감리 - 신감삼거리 - 신감교 - 양지리 - 사곡초등학교 (폐교) - 사곡면사무소 - 의성중학교 사곡분교 (폐교) - 매곡리 - 사곡저수지 - 공정리 - 사곡령

3. 4. 청송군

사곡령을 넘어 현서면 화목리로 이어진다.

4. 중복 구간

4. 1. 국도와의 중복

구미시 옥성면 구봉삼거리에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에 이르는 구간은 국도 제59호선과 중복된다.

4. 2. 지방도와의 중복

상주시 낙동면 용포교 동단에서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까지 구간은 지방도 제916호선과 중복된다. 구미시 옥성면 구봉삼거리에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까지 구간은 국도 제59호선과 중복된다. 의성군 단북면 단밀약방에서 삼성중학교까지 구간은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된다. 의성군 신평면 마안교 동단에서 안평면 안평파출소까지 구간은 지방도 제927호선과 중복된다. 의성군 사곡면 신감리에서 신감삼거리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30호선과 중복된다.

5. 도로명

상주시 청리면 청리 교차로 ~ 청리삼거리 : 마공공단로

상주시 청리면 청리삼거리 ~ 청하교 남단 : 남상주로

상주시 청리면 청하교 남단 ~ 청리교 북단 : 청리중앙로

상주시 청리면 청리교 북단 ~ 낙동면 용포교 동단 : 수선로

상주시 낙동면 용포교 동단 ~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선상서로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 ~ 구봉삼거리 : 산촌옥관로

구미시 옥성면 구봉삼거리 ~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 : 선상동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 ~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남단 : 영남제일로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남단 ~ 단북면 용기삼거리 : 도안로

의성군 단북면 용기삼거리 ~ 용기사거리 : 서부로

의성군 단북면 용기사거리 ~ 신평면 마안교 동단 : 안신로

의성군 신평면 마안교 동단 ~ 안평면 안평파출소 : 봉호로

의성군 안평면 안평파출소 ~ 의성읍 의성교 동단 : 안평의성로

의성군 의성읍 의성교 동단 ~ 북원사거리 : 홍술로

의성군 의성읍 북원사거리 ~ 의성역 : 문소3길

의성군 의성읍 의성역 ~ 의성여자중학교 : 군청길

의성군 의성읍 의성여자중학교 ~ 지곡서원 : 상리길

의성군 의성읍 지곡서원 ~ 상리삼거리 : 충효로

의성군 의성읍 상리삼거리 ~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 : 의성사곡로

5. 1. 상주시 구간

지방도 제912호선은 상주시 청리면 청리 교차로에서 청리삼거리를 잇는 마공공단로 구간, 청리삼거리에서 청하교 남단까지 이어지는 남상주로 구간, 청하교 남단에서 청리교 북단까지 이어지는 청리중앙로 구간, 청리교 북단에서 낙동면 용포교 동단까지 이어지는 수선로 구간으로 구성된다.

5. 2. 상주시-구미시 연결 구간

상주시 낙동면 용포교 동단에서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까지 연결되는 구간은 선상서로이다.

5. 3. 구미시 구간

구미시 옥성면 산촌마을입구에서 구봉삼거리까지 구간은 산촌옥관로와 연결된다. 구봉삼거리에서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선상동로와 연결된다.

5. 4. 상주시-의성군 연결 구간

상주시 낙동면 낙동삼거리에서 의성군 단밀면 낙단교 남단을 잇는 구간은 영남제일로에 속한다.

5. 5. 의성군 구간

단밀면 낙단교 남단에서 단북면 용기삼거리까지 구간은 도안로와 중복된다. 단북면 용기삼거리에서 용기사거리 구간은 서부로와 중복된다. 용기사거리에서 신평면 마안교 동단까지 구간은 안신로와 중복된다. 신평면 마안교 동단에서 안평면 안평파출소까지 구간은 봉호로와 중복된다. 안평면 안평파출소에서 의성읍 의성교 동단까지 구간은 안평의성로와 중복된다. 의성읍 의성교 동단에서 북원사거리까지 구간은 홍술로와 중복된다. 북원사거리에서 의성역까지 구간은 문소3길과 중복된다. 의성역에서 의성여자중학교까지 구간은 군청길과 중복된다. 의성여자중학교에서 지곡서원까지 구간은 상리길과 중복된다. 지곡서원에서 상리삼거리까지 구간은 충효로와 중복된다. 상리삼거리에서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 구간은 의성사곡로와 중복된다.

6. 문화재 및 유적

2010년 10월 6일 낙단보 건설현장에서 이 지방도 하단부 바위에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되었다.[4] 이 때 지름 10cm 가량의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중 발견되어 마애불 좌상의 상단 우측 광배부분이 훼손됐다. 이는 당시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4대강 정비 사업 추진으로 인한 문화재 훼손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후 또다른 제2의 마애불이 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5] 불교계에서도 논란이 되었다. 문화재청에서 발굴을 위해 해당 구간이 폐쇄될 뻔했으나[6] 수개월 동안 조사를 해도 더 이상 마애불이 발견되지 않았다.[7]

발견된 마애보살좌상은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이라는 이름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2호로 지정되었다.[8]

6. 1.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

2010년 10월 6일 낙단보 건설현장에서 이 지방도 하단부 바위에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보살좌상이 발견되었다.[4] 이 때 지름 10cm 가량의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중 발견되어 마애불 좌상의 상단 우측 광배부분이 훼손됐다. 이후 또다른 제2의 마애불이 있다는 제보가 잇따르고[5] 불교계에서도 논란이 되었다. 문화재청에서 발굴을 위해 해당 구간이 폐쇄될 뻔했으나[6] 수개월 동안 조사를 해도 더 이상 마애불이 발견되지 않았다.[7]

발견된 마애보살좌상은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이라는 이름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2호로 지정되었다.[8]

참조

[1]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http://www.gb.go.kr/[...] 2003-02-20
[2]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7-517호 http://www.gb.go.kr/[...] 2007-06-18
[3] 간행물 경상북도고시 제2018-343호 http://www.gb.go.kr/[...] 2018-11-15
[4] 뉴스 낙동강변서 고려전기 마애보살좌상 발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0-14
[5] 뉴스 4대강 낙단보 마애불 인근 '또 있다' 제보 http://www.bbsi.co.k[...] 불교방송 2011-02-01
[6] 뉴스 의성 제2 마애보살좌상 또 발굴? 도로 폐쇄되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2-16
[7] 뉴스 낙동강 제2 마애불, 샅샅이 뒤졌지만…없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0-26
[8] 뉴스 의성군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9-23
[9] 문서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0] 문서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